IB 교육이 최근 대한민국 공교육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서울, 경기, 대구, 제주 등 주요 시도 교육청이 IB 프로그램을 도입하며, 2025년까지 전국적으로 200여개 학교가 IB를 운영하게 됩니다. 이 변화는 단순한 교육 프로그램 도입을 넘어, 대한민국 교육에 큰 틀을 바꿀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전문가적 관점에서 이에 대한 논점과 생각을 같이 말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IB 교육 도입 현황: 전국 확산과 정책

지역 | IB 학교 수(2025) | 특징 및 정책 방향 |
---|---|---|
서울 | 91개 이상 | 한국형 바칼로레아(KB) 추진, 고교 확대 |
경기 | 145개 | 5대 IB 추진 전략, 체계적 지원 강화 |
대구 | 98개 | 전국 최초 도입, 인증 학교 다수 |
제주 | 13개 | 국제학교 중심, 우수 사례 다수 |
해당 리스트는 PYP, MYP 과정을 포함한 수를 말하는 것으로 DP (고등과정)에 대한 학교수는 국내에 전반적으로 부족한 실정입니다. DP 과정을 제공하는 리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시도 | 학교명(영문명) | 학교 유형 | 비고 |
---|---|---|---|
서울 | 드와이트 스쿨 서울 | 외국인학교 | PYP/MYP/DP |
서울 | 서울외국인학교 | 외국인학교 | PYP/DP |
서울 | 덜위치칼리지서울 | 외국인학교 | DP |
서울 | 코리아외국인학교 | 외국인학교 | PYP/MYP/DP |
경기 | 경기수원외국인학교 | 외국인학교 | DP |
대구 | 대구국제고 | 국제고 | 2023년 인증, DP |
대구 | 대구외국어고 | 외국어고 | 국공립고 최초 인증, DP |
대구 | 경북대사대부고 | 공립고 | 국내 공교육 최초 인증, DP |
대구 | 포산고 | 공립고 | DP |
대구 | 대구서부고 | 공립고 | 2023년 인증, DP |
인천 | 채드윅 국제학교 | 외국인학교 | DP |
부산 | 부산국제외국인학교 | 외국인학교 | DP |
대전 | 대전외국인학교 | 외국인학교 | DP |
경남 | 경남국제외국인학교 | 외국인학교 | DP |
제주 | 브랭섬홀 아시아 | 국제학교 | PYP/MYP/DP |
제주 | 노스런던컬리지잇스쿨 제주 | 국제학교 | DP |
제주 | 세인트 존스베리 아카데미 제주 | 국제학교 | DP |
제주 | 브리티시 인터내셔널 아카데미 | 국제학교 | DP |
이렇게 DP 과정을 인증받은 학교들이 있습니다. IB 교육의 장점으로는 주입식교육 대신 학생 주도 탐구, 토론, 에세이 중심 평가로 사고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대학으로 진출하기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IB 교육의 단점 및 논란: 현실적 우려
쟁점 | 설명 |
---|---|
사교육 유발 | IB 관련 학원, 사설 프로그램 증가로 사교육 시장 확대 우려 |
예산 부담 | 인증비, 연간 회비, 교사 연수 등 도입·운영 비용이 크고 국부 유출 논란 |
대입 연계 부족 | 국내 대학의 IB 전형 미비, 수능과 일정 중복 등 현실적 한계 |
교육 격차 심화 | 상위권 학생 중심, 일반 학생 접근성 낮아 교육 불평등 우려 |
- 사교육 조장: IB 학원 및 사설 교육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공교육 취지와 상충한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 예산 문제: IB 인증 및 운영에 드는 비용이 상당하며, 일부에서는 국부 유출 논란도 제기됩니다.
- 대입 연계: 아직 국내 대학의 IB 전형이 충분하지 않아, IB 이수 학생의 진로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IB 교육의 국내 공교육 도입 확대는 창의적 인재 양성이라는 긍정적 효과와 함께, 사교육·예산·대입 등 현실적 문제를 동반합니다. 정책적 보완과 사회적 합의, 대입 연계 강화가 병행되어야 진정한 교육 혁신으로 자리잡을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