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 과목 선택에 대한 팁 (2025년 자료)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돌아왔습니다! 25년 여름방학 특강으로 바쁜 나머지 블로그 글을 쓸 여유가 많이 없어서 꾸준히 쓰는것이 쉽지 않았습니다! 이제 다시 힘내서 꾸준히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궁금한 주제가 있다면 자유게시판에 신청해주세요.

IB 디플로마 과정을 시작하는 학생들에게 과목 선택은 미래 대학 전공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첫 관문입니다. “어떤 과목을 선택해야 할까?” 막막하게 느끼는 학생과 학부모님들을 위해, 전공에 맞춰 전략적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방법을 몇 예시를 들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IB 과목은 총 6개의 그룹에서 각 한 과목씩 선택하며, 이 중 3과목은 심화 수준 (HL), 나머지는 표준 난이도 (SL) 으로 이수해야 합니다. 여기에 TOK (Theory of Knowledge), EE (Extended Essay), IA (Internal Assessment)를 이수하면 디플로마를 취득하게 됩니다.

핵심은 자신의 흥미와 적성, 그리고 목표 대학 및 전공의 요구 사항을 균형 있게 고려하는 것입니다.


Case 1)목표하는 전공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아는 학생

자신의 흥미를 알고 어떤 전공으로 가고자 함이 분명한 학생은 많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30-40% 학생만이 자신이 가고자 하는 전공이 분명합니다. 이런 경우는 HL 과목을 고르는 것은 매우 쉬운 일 입니다. 목표하는 대학의 입학처에 들어가서 어떤 과목을 필수 과목으로 선택해야 하는지를 보면 되는 일 입니다.

해당 예시는 Oxford University 의 civil engineering 학과의 예시 입니다. 특히 괄호 안의 내용을 보시면 HL 으로 수학과 물리를 반드시 선택해야 한다고 나와있습니다. 이런식으로 많은 대학이 과목의 선택지를 줄여주고 있기 때문에 학생이 가고자 하는 곳이 분명하다면 해당 전공의 입학처를 확인하여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큰 도움을 줄 것 입니다.


🎯 전공별 맞춤 과목 선택 가이드: 토목공학
(Civil Engineering)

토목공학은 다리, 터널, 댐 등 사회 기반 시설을 설계하고 건설하는 학문입니다. 따라서 수학과 물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 Group 4: Sciences (과학)
    • Physics (물리) HL: 필수 중의 필수입니다. 대부분의 대학에서 토목공학과 지원 시 물리 HL을 요구합니다. 물체의 운동, 힘, 에너지 등 토목공학의 기본이 되는 원리를 배우기 때문입니다.
  • Group 5: Mathematics (수학)
    • Mathematics: Analysis and Approaches (AA) HL: 미적분, 벡터 등 고등 수학 개념을 심도 있게 다루므로 물리와 함께 가장 중요한 과목입니다. 대학 수학의 기초가 되며, 복잡한 공학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인 역량을 길러줍니다.
  • 나머지 과목 선택 전략
    • Group 3 (사회): Economics(경제) HL/SL 또는 Geography(지리) HL/SL를 추천합니다.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거나, 지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Group 1 & 2 (언어): 자신의 언어 능력에 맞춰 선택하되, 꾸준히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 Group 6 (예술 또는 추가 과목): Chemistry(화학) SL을 추가로 선택하면 재료 공학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토목공학 예시 과목 조합]

과목수준선택 이유
PhysicsHL전공 필수. 구조 역학의 기초
Mathematics: AAHL전공 필수. 공학 문제 해결의 핵심
EconomicsHL프로젝트 경제성 분석 능력 함양
Korean ASL모국어 능력
English BSL제2외국어 능력
ChemistrySL재료 과학 이해도 증진

Case 2) 목표하는 전공이 무엇인지 모르는 학생

자신의 흥미나 미래 전공에 대해 아직 확신이 서지 않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잘못 선택해서 나중에 원하는 전공에 지원도 못 하면 어떡하지?” 하는 불안감이 클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이런 경우에는 선택의 폭을 최대한 넓게 유지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전략입니다. 특정 전공에만 유리한 과목 조합보다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문을 열어둘 수 있는 “만능 열쇠” 같은 과목들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문을 넓게 열어두는 과목 선택 전략

  1. ‘촉진 과목(Facilitating Subjects)’을 주목하세요. 영국의 명문 대학 그룹인 러셀 그룹(Russell Group)에서 강조하는 개념으로, 다양한 전공을 공부하는 데 유리한 과목들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역사, 지리, 영어, 현대 및 고전 언어 등이 포함됩니다. 이 과목들, 특히 HL로 2~3개 선택하면 대부분의 인문사회 및 이공계 학과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 요건을 갖추게 됩니다.
  2. 과학과 인문학의 균형을 맞추세요. 이공계(STEM)와 인문·사회 계열(Humanities) 사이에서 고민 중이라면, 두 분야의 핵심 과목을 하나씩 HL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Physics HLHistory HL을 함께 듣는 식입니다. 이는 여러분이 논리적 사고와 비판적 분석 능력을 모두 갖추었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가 됩니다.
  3. 수학은 기본이자 핵심입니다. 어떤 전공을 선택하든 수학적 사고력은 중요합니다. 특히 Mathematics: Analysis and Approaches (AA) SL은 대부분의 인문·사회 계열뿐만 아니라 일부 이공계 학과에서도 인정해 주므로 안전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수학에 자신 있다면 AA HL을 선택하는 것이 미래의 선택지를 가장 넓게 보장하는 길입니다.

🌐 균형 잡힌 과목 조합 예시

아직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을 위한 예시 조합입니다. 이 조합은 이공계와 인문·사회계열 양쪽의 문을 모두 열어두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과목수준선택 이유
Mathematics: AAHL이공계, 상경계 등 가장 넓은 전공을 커버하는 핵심 과목
Chemistry or PhysicsHL자연과학, 공학, 의학 계열 진학의 필수 조건 충족
Economics or HistoryHL인문사회, 상경 계열의 문을 열어두고, 논리적 사고력 증명
English A/BSL언어 능력 (자신에게 맞는 과목 선택)
Korean ASL모국어 능력
Biology or GeographySL과학 또는 사회 과목에 대한 추가적인 탐구 (흥미에 따라 선택)

진로에 대한 고민은 지극히 당연한 과정입니다. 조급해하지 말고, 자신의 가능성을 제한하기보다는 최대한 많은 문을 열어두는 현명한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